부석사 무량수전 앞에 세워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이다. 석등은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 하여 광명등(光明燈)이라고도 하며, 대개 대웅전이나 탑과 같은 중요한 건축물 앞에 세워진다.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3단의 받침돌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올린 후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다. 4각 바닥돌은 옆면에 무늬를 새겨 꾸몄으며, 그 위의 아래받침돌은 큼직한 연꽃 조각을 얹어 가운데기둥을 받치고 있다. 전형적인 8각 기둥형태인 이 기둥은 굵기나 높이에서 아름다운 비례를 보이는데, 위로는 연꽃무늬를 조각해 놓은 윗받침돌을 얹어놓았다. 8각의 화사석은 불빛이 퍼져 나오도록 4개의 창을 두었고, 나머지 4면에는 세련된 모습의 보살상을 새겨놓았다. 지붕돌도 역시 8각인데, 모서리 끝이 가볍게 들려있어 경쾌해 보인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얹었던 받침돌만이 남아있다.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아름다운 석등으로, 비례의 조화가 아름답고, 화려하면서도 단아한 멋을 지니고 있다. 특히, 화사석 4면에 새겨진 보살상 조각의 정교함은 이 석등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이 석등은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의 가장 아름다운 대표적 석등이다. 방형(方形) 지대석(地臺石) 측면에는 안상(眼象)이 2개씩 배치되고 지대석 위의 팔각 하대석(下臺石)에는 복련(覆蓮)과 귀꽃 장식이 화려하게 조각되었다. 8각의 간주석(竿柱石)은 알맞은 높이로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간주석 위의 상대석(上臺石)에는 부드러운 8엽(八葉) 앙련(仰蓮)이 조각되었다. 8각의 화사석(火舍石) 벽면(壁面)에는 네 곳에 화창(火窓)이 있고 네 곳에 세련된 보살상(菩薩像)이 조각되었다. 옥개석(屋蓋石) 위에는 보주(寶珠)가 있었는데 보주대(寶珠臺)만 남아 있다. 석등의 전체 높이는 2.97m이다.
사찰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