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에서 자생하는 야생 장미 중 하나로, 해안가 모래에서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이다. 해당화는 멀리 고려시대 이전부터 아름다운 자태를 노래하던 꽃나무다 고려사에 실린 당악(唐樂에 보면 봄을 찾아 동산에 가니 고운 꽃 수놓은 듯이 피었네 해당화 가지에 꾀꼴새 노래하고··· 라고 하였으며, 동국이상국집의 해당화에는 하도 곤해선가 머리 숙인 해당화 양귀비가 술에 취해 몸 가누지 못하는 듯 꾀꼬리가 울어대어 단꿈에서 깨어나 방긋이 웃는 모습 더욱 맵시 고와라 ...라고 읊조리고 있다. 또한 장끼전에도 명사십리 해당화야, 꽃 진다고 한탄 마라. 너야 내년 봄이면 다시 피려니와 우리 님 이번 가면 다시 오기 어려워라 ...는 내용이 나온다. 꽃말은, 이끄시는 대로 왕준기 - 구름이 머무는 산사
꽃방,나비,그리고 새